사용자는 아티팩트에 대한 분석을 실행할 때 분석이 탐색하는 순회(방향)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4 방향이 사용 가능합니다(업스트림, 다운스트림, 둘 다(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및 전체 추적성). 이 주제에서는 전체 추적성 순회에 대해 다루고 전체 추적성 순회가 둘 다 순회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다룹니다. 다음 이미지는 영향 분석 다이어그램 화면에 있는 순회 탭의 순회 옵션을 표시합니다.

전체 추적성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추적성은 대상 아티팩트의 모든 노드를 순회하기 때문에 영향 분석 다이어그램이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신중하게 사용하십시오. 전체 추적성이 적절한 옵션인지 확신이 없는 경우 둘 다 순회 옵션을 먼저 사용하십시오. 둘 다는 대상 아티팩트에 대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아티팩트를 탐색하지만 모든 노드를 탐색하지는 않기 때문에 영향 분석 다이어그램이 더 적은 수의 아티팩트를 포함하고 더 빠르게 수행됩니다.
다음 시나리오에서는 전체 추적성 순회가 둘 다 순회보다 유용할 수 있는 상황을 다룹니다.
시나리오 1: 새 개발자 John에게 컴포넌트에 대한 작업이 지정됩니다. John은 컴포넌트 디자인을 시작하고 관련 아티팩트를 탐색합니다. John은 프로젝트를 처음 접하기 때문에 가능한 종속성 및 상호작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최적의 지점에서 시작하고 있는지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John은 전체 추적성 순회를 사용하여 디자인 요소 중 하나에서 위로 요구사항 및 포함 모듈로 연결되는 링크를 확인한 후 해당 모듈의 다른 요구사항에서 아래로 디자인의 관련 파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확인합니다. 또한 John은 디자인 요소에서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케이스에서 소유 테스트 계획, 테스트 계획에서 다시 다른 디자인 요소 및 요구사항으로 연결된 링크도 추적합니다.
시나리오 2: Susan은 제품 중 하나에서 컴포넌트의 기능을 일반화하기 위해 변경을 고려 중인 제품 관리자입니다. Susan은 전체 추적성 순회를 사용하여 해당 컴포넌트의 구성과 제품 라인을 확인합니다. Susan은 구성에서부터 아래로 유사하지만 관련 없는 컴포넌트까지 관계를 추적하여 잠재적 변경이 컴포넌트를 다른 제품 라인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렇게 포함되면 컴포넌트 재사용은 늘어나고 비용은 줄어듭니다.
다음 시나리오에서는 둘 다 순회가 전체 추적성 순회보다 유용할 수 있는 상황을 다룹니다.
시나리오 1: 개발자 John은 일부 코드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확장성 결함을 수정해야 합니다. John은 디자인을 변경하기 전에 업스트림 아티팩트와 다운스트림 아티팩트를 둘 다 검토하려고 합니다.
업스트림 아티팩트는 디자인과 관련된 요구사항과 작업 항목입니다. 작업 항목은 확장성 문제점의 세부사항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John에게는 작업 항목이 이미 지정되었으므로 작업 항목이 있음을 재확인하는 것 외에 해당 추적성 링크에서 알아낼 수 있는 사항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새로 링크된 성능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새 디자인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하므로 업스트림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다운스트림 아티팩트는 테스트 케이스입니다. John은 테스트 케이스가 새 디자인에 대해 작동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새 성능 및 확장성 요구사항과 해당 디자인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깊이 레벨을 추가할 때마다 그려지는 노드 수가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노드 수 증가가 바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깊이를 늘릴 때에는 주의하십시오.
다음 이미지는 각 순회(업스트림, 다운스트림, 둘 다, 전체 추적성)가 초점 아티팩트와의 관계 내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표시합니다.
